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399

이동식 사다리 안전점검표 2023. 3. 17.
철근작업 안전점검표2 2023. 3. 16.
굴착기 안전점검표2 1. 굴착기란? 토사의 굴착을 주목적으로 하는 장비로서 붐, 암, 버킷과 이들을 작동시키는 유압 실린더·파이프 등으로 작동되며 별도의 장치부착을 통해 파쇄·절단작업 등이 가능한 기계 2. 주요 사망사고 사례 후진하던 굴착기에 작업자가 부딪힘 굴착기 버킷에 탑승하여 고소작업 중 떨어짐 굴착면에서 전도된 굴착기에 깔림 3. 관련법규 1)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35조(관리감독자의 유해·위험 방지 업무 등) ~ 제38조(사전조사 및 작업계획서의 작성 등) 제92조(정비 등의 작업 시의 운전정지 등) 제98조(제한속도의 지정 등) 제99조(운전위치 이탈 시의 조치) 제196조(차량계 건설기계의 정의) ~ 제206조(수리 등의 작업 시 조치) 제221조의2(충돌위험 방지조치) ~ 제221조의5(인양작업 시.. 2023. 3. 15.
안전관리체계 구축 점검표 2023. 3. 14.
윈도우 바탕화면 날짜에 요일표시 방법 (정말 편해요) 업무를 하다가 날짜를 확인하기 위해 윈도우 우측하단을 자주보게 되는데 이때 요일이 표기되어있지 않아 클릭해서 달력을 열어보는 경우가 종종 생깁니다. 날짜뒤에 요일이 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했었는데 그 방법이 있었네요. 누구나 잠깐이면 간편하게 설정이 가능하니 편하게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윈도우 바탕화면 날짜에 요일표시 방법 [진행순서] 윈도우 우측 하단에 있는 날짜에 마우스 우클릭 날짜 및 시간조정 클릭 추가시계 클릭 날짜 및 시간 변경 클릭 달력 설정 변경 클릭 추가설정 클릭 날짜 클릭 yyyy-MM-dd 뒤에 붙여서 '('ddd')' 입력 적용 1. 윈도우 우측 하단에 있는 날짜에 마우스 우클릭 2. 날짜 및 시간조정 클릭 3. 추가시계 클릭 4. 날짜 및 시간 변경 클릭 5. 달력 설정 변경 클릭 .. 2023. 3. 13.
해빙기 안전점검표 2023. 3. 9.
노트북 SSD추가 방법 및 드라이브가 안보일때 해결방법 요즘 노트북을 보면 용량장사가 극에 다다르고 있는 것 같다. 애플이야 예전부터 그랬지만 이제는 삼성이나 LG도 비슷하게 변하고 있는 것 같다. 내가 사용하고 있는 갤럭시북은 용량이 256G인데 요즘 같은 세상에서는 턱없이 부족한 용량이다. 어쩌겠나.. 용량 큰 걸 사자니 너무 비싸고, 여러 가지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보관하기 위해 고민 끝에 SSD를 추가설치하는 방법을 선택했다. (NAS를 사고 싶은데... 다음을 기약해 본다) 1. 준비물 SSD 드라이버(안경에 사용하는 작은 드라이버) 드라이버는 예전에 다이소에서 구매한 것 같고, SSD는 삼성 1TB 병행수입제품을 준비했다. 뭐니 뭐니 해도 요즘 같은 시기에는 싼 게 최고다. 2. 노트북 외관 노트북 외관을 살펴보면 그냥 평범한 노트북이다. 특별한 건.. 2023. 3. 8.
산업용 로봇 안전점검표2 2023. 2. 18.
후크ㆍ샤클 안전점검표 2023. 2. 17.
분쇄ㆍ파쇄기 안전점검표 2023. 2. 16.
엑셀 영어입력 시 한글로 자동고침 해제 방법 엑셀을 사용하다보면 분명 영어를 입력했는데 한글로 자동으로 변경되어 짜증날때가 있습니다. 엑셀은 기본으로 자동변환으로 설정되어있는데 편할때도 있지만 분명 불편할때도 있기때문에 설정변경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두가지의 쉬운 방법이 있으니 기호에 맞게 사용하시면 됩니다. 첫번째. 엑셀 메뉴로 해제하는 방법 ① 파일 → ② 옵션 → ③ 언어교정 ④ 자동고침옵션 ⑤ 한/양 자동고침 옵션 해제 두번째. 엑단축키로 변경하는 방법 ALT+T → A → ALT+K 두번째 방법이 간편하긴 하지만 단축키가 생각이 안난다면 첫번째 방법으로 진행하시면 됩니다. 2023. 2. 15.
사출성형기 안전점검표2 2023. 2. 15.
TBM실행 체크리스트 2023. 2. 14.
지게차 안전점검표2 2023. 2. 13.
TBM(Tool Box Meeting) 실시 목적과 방법(이제는 해야만 한다.) 2022년 11월 30일 '중대재해 감축 로드맵'이 발표되었고 가장 핵심내용으로는 위험성평가를 통해 자기 규율 예방체계를 구축하는 것이라고 발표하였습니다. 노사가 함께 참여하여 위험성평가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작업 전 안전점검회의(TBM)를 통해 위험요인과 개선대책을 반복해서 전달교육을 해야만 합니다. 기존에 아침조회를 진행하던 회사에서는 조회시간을 활용하여 TBM 절차를 만들어 교육하고 시행하면 되지만, 조회를 진행하지 않는 회사는 아침조회를 만드는 것이나 다름이 없으므로 사업주와 근로자와의 협의가 반드시 필요합니다. 이 과정에서 안전관리자들이 가장 힘들것으로 생각되는데 욕먹을 각오하고 진행해야만 합니다. 우선 왜 해야만 하는지에 대해 설득하는 과정이 필요하고, 지속적인 교육도 필요합니다. 그리고 사업.. 2023. 2.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