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우리나라에서는 산재사고에 대한 관심과 질타가 많아지고 있습니다. 대통령으로 부터 시작된 관심이 일회성으로 끝나지 않고 지속적인 제도개선 및 인식개선을 통해 사고가 줄었으면 아주 좋을 것 같습니다.
2025년 상반기 사망사고 발생건수는 278건이며, 사고사망자는 287명 입니다. 정말 안타까운 일이 아닐 수 없습니다.
업종별 사망자수를 보면 건설업의 경우 전년도 보다 2건이 더 많이 발생하였고, 제조업은 다행이도 3건이 줄었습니다. 전반적으로 사고는 줄어들고 있는 추세이지만 건설업의 경우 너무 많은 사망자가 발생하고 있는 현실입니다.
재해유형을 보면 언제나 그랬듯이 떨어짐 사고가 가장많이 발생하고 있고 전년도 보다 20건이 더 발생한 것을 알 수 있는데 제발 이런 재해형 중에 재래형 사고는 이제 없어져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요즘 한창 질타를 받고 있는 건설업에서 발생한 사망사고 발생건수를 보면 대부분이 50인 미만의 영세한 사업장에서 발생하고 있는데 언론은 대기업 외에는 관심이 없어 보입니다. 낙수효과라곤 하지만 언제나 그랬듯이 안전에서 낙수효과란 없다고 봅니다. 왜그런지는 나중에 따로 언급하고 싶을 정도 입니다.
이렇게 상반기가 또 지나가고 많인 사람들이 다치거나 죽고 있습니다. 잘먹고 잘살자고 하는일이 이렇게 위험하다면 무슨의미가 있을지 모르겠네요. 매번 중대재해사이렌을 보면 어처구니 없는 사고들이 아직도 많이 발생하는 것을 보면 우리사회는 안전이라는 단어를 돈주고 팔고있다고 생각될 정도 입니다.
이번 이재명 대통령이 꾸준하게 강하게 밀고나간다면 무언가는 바뀌겠죠? 제발 기대해 봅니다.
'안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ISO 45001 : 2025년 최신 개정 주요 내용 (0) | 2025.05.12 |
---|---|
[2025년 3월] 성희롱 예방교육 지정(위탁)기관 현황 (0) | 2025.04.02 |
산업안전보건법상 안전인증대상과 자율안전신고 대상 설비 (4) | 2024.09.12 |
용접ㆍ용단 작업 시 불티의 비산거리 (0) | 2024.02.19 |
겨울철 기상특보의 종류를 알아보자 (0) | 2024.01.2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