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작업환경 점검표 |
사업장 | |
점검일 | ||
점검자 |
NO | 점검항목 | 양호 | 불량 | 조치사항 |
1 | 조명등에 보호갓, 보호망 미설치로 전등이 충격으로 깨지면서 파편에 맞음 위험은 없는가? | |||
2 | 조명등 설치 시 견고하게 고정되지 않아 조명등이 떨어지거나 받침대가 넘어짐 위험은 없는가? | |||
3 | 어두운 장소 통행 시 임시 조명등을 미소지하여 자재 등에 걸려 넘어짐 위험은 없는가? | |||
4 | 어두운 장소에 조명이 설치되어 있지 않아 개구부 등에 떨어짐 위험은 없는가? | |||
5 | 조명기구에 누전차단기 미접속으로 감전 위험은 없는가? | |||
6 | 작업용도에 부족한 조도의 조명으로 작업 중 재해발생 위험은 없는가? | |||
7 | 지하층 작업장소에 조명 미설치로 넘어짐 위험은 없는가? | |||
8 | 개인보호구 미착용하고 어두운 장소 이동 중 부딪히거나 걸려 넘어짐 위험은 없는가? | |||
9 | 작업 또는 통행 등으로 인하여 접촉하거나 접촉할 우려가 없도록 설치하고 있는가? | |||
10 | 전선이 피복손상, 꼬임 및 결속부가 많은 것은 사용을 제한하고 있는가? | |||
11 | 모든 전선은 3P(접지)선을 사용하고 있는가? | |||
12 | 가설등에는 전등보호 갓을 설치하고 있는가? | |||
13 | 가설등은 거치대를 설치하여 사용하고 있는가? | |||
14 | 가설전등은 공중으로 띄워 설치하고 있는가? | |||
15 | 전구 파손 시 즉시 교체하고, 미사용 가설전등은 해체하고 있는가? | |||
16 | 가설전등의 전선은 누전차단기에 연결하여 사용하고 있는가? | |||
17 | 환기장치의 불안전한 설치로 낙하하여 맞음 위험은 없는가? | |||
18 | 유해가스 배출구가 충분히 돌출되지 않아 유해가스가 역류 위험은 없는가? | |||
19 | 환기기구의 호스 연결불량으로 유해가스, 분진 등 누출 위험은 없는가? | |||
20 | 환기장치에 접지 미실시로 감전 위험은 없는가? | |||
21 | 환기작업 시 분진 발생으로 업무상 질병 위험은 없는가? | |||
22 | 분진, 유해가스 발생 장소에 환기 시설 미설치로 질식으로 산소결핍 위험은 없는가? | |||
23 | 개인보호구 미착용하고 분진발생 작업 시 업무상 질병 위험은 없는가? | |||
24 | 산소결핍 위험장소에서의 작업 시에는 산소농도 및 유해가스 농도를 측정한 후 작업을 수행하고 있는가? | |||
25 | 산소농도를 측정하여 산소농도가 18%미만일 경우에는 환기를 실시하고 있는가? | |||
26 | 환기 실시한 후 산소농도를 다시 확인하고 작업을 실시하며 작업 중에도 계속 환기를 실시하고 있는가? | |||
27 | 산소결핍 위험장소에서의 환기는 급·배기를 동시에 실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는가? | |||
28 | 폭발산화 등을 방지하기 위해 환기를 실시할 수 없는 장소나 산소결핍 위험 장소에 들어갈 때는 송기마스크, 공기호흡기, 산소호흡기 등 호흡용 보호구를 착용하고 있는가? | |||
29 | 감독자는 작업상황을 살펴보고 이상이 있는 경우 관계자에게 연락할 수 있는 체제를 유지하고 있는가? | |||
30 | 산소농도 측정자는 반드시 폐쇄된 공간 밖에서 측정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는가? | |||
31 | 폐쇄된 공간이 깊고 복잡하여 부득이 내부에 들어가서 측정하여야 할 경우에는 반드시 송기식 공기호흡기 또는 산소호흡기를 착용하고 있는가? | |||
32 | 폐쇄된 공간에 전락할 우려가 있을 때는 구명줄과 안전대를 사용하고 있는가? | |||
33 | 측정할 때는 상승의 공기만을 채취하여 측정하지 말고,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 적어도 3개소 이상 측정하고 있는가? | |||
34 | 산소가 결핍된 공기 등이 침입할 우려가 있는 곳은 빠짐없이 측정하고 있는가? | |||
35 | 1회 환기로 산소의 농도를 18%이상으로 유지 할 수 없거나 자연 환기로는 풍량, 풍향 및 풍속 등의 조정이 불확실할 때는 계속적인 강제 환기를 실시하고 있는가? | |||
36 | 승인 받은 밀폐공간이 아니면 절대 들어가지 않고 있는가? | |||
37 | 작업 중 현기증 또는 가벼운 두통을 느낄 경우 즉시 밖으로 대피하고 작업책임자에게 보고하도록 하는가? | |||
38 | 밀폐공간에서 작업 중 근로자 임의로 공기호흡용 마스크를 벗지 않고 있는가? | |||
39 | 밀폐공간 내부에서는 절대로 흡연하지 않고 있는가? | |||
40 | 각종 도구 및 장비를 올바른 사용법에 의해 다루고 있는가? | |||
41 | 측정장비의 사용법을 알고 있는 유자격자가 측정하고 있는가? | |||
42 | 재해자를 구조하여야 할 경우 반드시 공기호흡용 안전장구를 착용한 후 내부로 들어가고 있는가? | |||
43 | 화학물질 사고시에 대비 소방용수 공급시설, 인공호흡장비, 소화기 등 응급 구조장비를 항상 유효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사전 준비하고 있는가? | |||
44 | 작업 전 산소 및 가스농도 측정을 3개소 이상 반드시 실시하고, 산소결핍시 환기조치 및 공기호흡용 마스크를 착용하고 있는가? | |||
45 | 터널 기타 갱의 굴착공사에 있어서 메탄 또는 탄산가스의 분출 우려가 있는 경우에는 존재유무의 조사, 처리방법, 굴삭시기, 작업순서를 정하고 있는가? | |||
46 | 반응탑 등의 내부 작업 시 불활성 기체의 누출 및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밸브, 코크등의 잠금장치 및 방출설비를 하고 있는가? | |||
47 | 가스 등의 송급, 부패 또는 분해 물질이 발생하는 배관, 부속설비의 해체, 부착 또는 개조 등의 작업 시 호흡용 보호구를 착용하고 있는가? | |||
48 | 압기공법에 의한 작업 시 우물, 배관 등에 대하여 공기누출 유무 및 정도와 산소농도등의 측정을 실시하고 있는가? | |||
49 | 누출 시 누출방지대책을 주지시키고, 관계근로자 이외의 자 출입금지 등의 조치를 하고 있는가? | |||
50 | 산소결핍 위험성이 있는 지하실, 피트 등의 내부는 폐쇄하거나 산소결핍 공기를 외부로 방출하기 위한 작업 조치를 하고 있는가? | |||
51 | 용기 내에 들어가기 전에 용기 내부를 충분히 환기시키고 있는가? | |||
52 | 용기 내부의 산소농도를 측정하여 그 값이 18% 이상을 유지하고 있는가? | |||
53 | 용기 내부의 가스검지를 실시하여 가연성 가스는 폭발하한농도가 25%이하 이어야 하며 유독가스의 경우는 인체에 유해하지 않을 정도로 유지하고 있는가? | |||
54 | 작업은 2명 이상이 실시함을 원칙으로 하고 있는가? | |||
55 | 점검 작업 중 악취, 기름누설, 가스누설 등의 이상 징후가 감지되는 경우에는 즉시 점검을 중지하고 점검책임자에게 알리고 있는가? | |||
56 | 가연성가스 또는 증기가 발생할 우려가 있는 장소에서 사용하는 전기 및 기계기구 등은 방폭구조의 것을 사용하고 있는가? | |||
57 | 고소작업시에는 공구 및 측정기구 등을 떨어뜨리지 않도록 공구함에 넣어서 운반하고 있는가? | |||
58 | 비계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필히 사용하기 전에 발판 등의 안전상태를 점검하고 있는가? | |||
59 | 공기호흡용 마스크는 위험가스의 종류에 따라 적합한 것을 사용하고 있는가? | |||
60 | 공기정화 장치는 먼지, 안개, 흄 등을 여과시키는데 사용하고 있는가? | |||
61 | 산소공급마스크는 저농도 상태의 확인된 대기 중의 위험작업에 사용하고 있는가? | |||
62 | 독립호흡장비는 고농도 상태, 산소결핍 유독가스 및 전혀 측정이 곤란한 확인되지 않은 공간에 서의 응급구조 상황에 사용하고 있는가? | |||
63 | 공기호읍용 마스크는 사용법을 숙지하여야 하고 장기간 보관 시 유지관리에 유의하고 있는가? | |||
64 | 구명줄은 무의식 상태의 재해자를 이동시키는데 사용되므로 충분한 강성을 확보하고 있는가? | |||
65 | 안전벨트는 응급상황에서 신속하게 해체가 용이한 장치를 갖고 있는가? | |||
66 | 분진이 다량 발생하는 작업 중 돌출물에 걸려 넘어짐 위험은 없는가? | |||
67 | 분진의 종류, 유해성을 미파악하고 작업 중 분진에 의한 질환 발생 위험은 없는가? | |||
68 | 조명이 불충분한 장소에서 분진에 의한 시야 미확보로 부딪힘 위험은 없는가? | |||
69 | 다량의 분진 발생으로 주변근로자 및 시설에 피해 위험은 없는가? | |||
70 | 분진 발생작업에 대한 안전작업 절차 미준수로 업무상 질병 위험은 없는가? | |||
71 | 개인보호구 미착용(호흡용 보호구 등)으로 업무상 질병 위험은 없는가? | |||
72 | 인화성 물질(가스, 증기, 분진)로 인하여 화재, 폭발 위험은 없는가? | |||
73 | 공기 중에 충분히 확산되어 폭발성 혼합물이 생성으로 화재 폭발 위험은 없는가? | |||
74 | 위험한 폭발성 분위기 생성으로 폭발 위험은 없는가? | |||
75 | 발화원이 있는가? | |||
76 | 화염 또는 고온 가스(흡연, 화재, 노출된 화염, 용접 및 절단)로 화재, 폭발 위험은 없는가? | |||
77 | 기계적으로 생성되는 스파크(연삭, 연마 및 충격 작업 중)로 화재, 폭발 위험은 없는가? | |||
78 | 전기 시스템(스위치, 릴레이) 오류로 화재, 폭발 위험은 없는가? | |||
79 | 고온 표면(건조기, 보일러, 고온 덕트, 연마 및 기계 동작에 기인)으로 화재, 폭발위험은 없는가? | |||
80 | 정전기(연마, 공기에 의한 물체 이송, 액체 흐름의 결과)로 화재, 폭발 위험은 없는가? | |||
81 | 폭발 위험이 잠재된 지역 내에서 화기 작업 (연삭, 플레임 절단, 용접)으로 화재, 폭발위험은 없는가? | |||
82 | 인화성 물질의 누출을 제거할 수 없는 경우 물질과 공기를 혼합한 인화성 물질 농도를 폭발 한계 밖으로 유지하도록 적합한 조치를 하였는가? | |||
83 | 환기와 세척 등 폭발성 분위기 형성을 예방하는 조치를 하였는가? | |||
84 | 용접, 연삭, 흡연, 고온 표면, 전기 및 정전기 스파크, 기계적 스파크, 발열성 화학 반응등 과 같은 잠재적 발화원을 제거하였는가? | |||
85 | 운전상의 발화원과 설비/공정의 오작동 또는 오용으로 인한 발화원으로 화재, 폭발위험은 없는가? | |||
86 | 양수기 배수능력 부족으로 점검 중 근로자 익사 위험은 없는가? | |||
87 | 집수정 주변 물기로 인해 미끄러짐 위험은 없는가? | |||
88 | 집수정 주변 안전난간 미설치로 떨어짐, 넘어짐 위험은 없는가? | |||
89 | 양수기 점검 시 집수정에 떨어짐 위험은 없는가? | |||
90 | 양수기 거치대에 근로자가 올라가서 양수기 인양 작업 중 떨어짐 위험은 없는가? | |||
91 | 양수기에 전선 피복손상으로 누전되어 감전 위험은 없는가? | |||
92 | 양수기 분전함 누전차단기 미설치로 누전에 의한 감전 위험은 없는가? | |||
93 | 양수기 접지 미실시로 누전으로 인한 감전 위험은 없는가? | |||
94 | 양수기 거치대에 근로자가 올라가서 양수기 인양 등 작업 중 떨어짐 위험은 없는가? | |||
95 | 작업장내에는 관계근로자 이외의 자의 출입을 금지하도록 표지판, 울타리 등을 설치하였는가? | |||
96 | 투입된 근로자는 위험요소로 부터 신체를 보호할 보호장구를 착용하고 있는가? | |||
97 | 투입된 근로자는 각자의 역할과 업무에 대하여 충분히 이해하고 있는가? | |||
98 | 다른 공정 또는 인근 작업장과 간섭으로 인한 위험은 없는가? | |||
99 | 해당 작업의 위험을 안내하기 위한 위험표지, 출입금지, 울타리 설치 등을 하였는가? | |||
100 | 해당 작업을 위하여 충분한 작업능력을 보유한 설비인가? | |||
101 | 투입된 근로자 중에 안전담당자를 지정하였는가? | |||
102 | 투입된 모든 근로자는 건설업 기초안전보건교육을 이수하였는가? | |||
103 | 투입된 근로자는 각자의 임부에 대하여 안전작업기준을 충분히 숙지하고 있는가? | |||
104 | 상호 신호체계, 방법 등을 결정하고 충분히 의사전달이 되도록 하였는가? | |||
105 | 작업 중에는 투입된 근로자가 불시의 위험으로부터 상해를 당하지 않도록 충분히 이격된 위치에 있는가? | |||
106 | 작업장 주변을 정리하고 각종 위험요소를 제거하였는가? |
반응형
'자료실 > 점검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설플랜트 작업 점검표 (0) | 2022.04.04 |
---|---|
위험기계기구 작업 점검표 (0) | 2022.04.03 |
안전가시설 작업 점검표 (0) | 2022.04.01 |
특수댐 작업 점검표 (0) | 2022.03.31 |
그라우팅 작업 점검표 (0) | 2022.03.3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