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1100 건설근로자 보호 위한 화장실 설치기준 강화 추진 (입법예고) 최근 신규아파트에서 인분사건이 다수 발생됨에 따라 이슈가 된 적이 있습니다. 사실 최근의 문제는 아니고 예전부터 자주 발생되던 문제였지만 아직까지는 크게 이슈가 되지 않았었습니다. 하지만 시대가 변하고 다양한 SNS가 발달되면서 문제점이 부각이 되었고 이제는 올바른 방향으로 법개정까지 이루어지게 된 것 같습니다. 고용노동부에서는 1.30~3.13일 까지 건설현장 화장실 설치기준에 근로자 수 기준 을 추가하여 건설근로자의 고용개선 등에 관한 법률 개정안을 입법예고 했습니다. 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현행 법의 화장실 관련 규제사항으로는 1억 원 이상 건설공사, 현장으로 부터 300M 이내 화장실 설치, 화장실 관리자 지정, 남녀 구분 설치 등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여기에서 추가로 근로자 수에 따른 .. 2023. 1. 31. 토공사ㆍ기초공사 안전점검표 2023. 1. 30. 외부 마감공사 안전점검표 2023. 1. 29. ‘중대재해처벌법 시행 1년 현황 및 과제’ 토론회를 보면서... 고용노동부에서 1월 26일(목) 오후 2시에 중대재해처벌법 시행 1년 현황 및 과제를 주제로 토론회를 진행하였다. 처음부터 끝까지는 보지 못했지만 중간중간 좋은 말들이 오간 게 기억에 남는다. 이런 토론회로 인해 곧바로 무엇인가 바뀐다고는 생각하지는 않지만 긍정적인 효과로 이어지길 기대하는 한 사람으로서 아쉬운 점을 남겨보자면, 모든 초점은 근로자와 사업주와 처벌에 맞춰져 있다. 안전관리자의 업무에 관련해서는 서류 작업을 줄여야 한다. 정규직화 해야 한다는 말 외에는 없다.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이야기만 한다. 서류 작업은 지금까지 경험으로 보자면 절대 줄어들 수가 없다. 근거를 만들어놓지 않으면 이행하지 않은 것으로 보기 때문에 우리나라 문화에 맞지 않을뿐더러 서류 작업을 줄였는데 사고가 나면 누군가 책.. 2023. 1. 29. 지붕공사 안전점검표 2023. 1. 27. 내부 마감공사 안전점검표 2023. 1. 26. 골조공사 안전점검표 2023. 1. 25. 2022년 사업재해현황 통계 (사망자/사고건수) 고용노동부에서 2022년 산업재해 현황 부가통계 "재해조사 대상 사망사고 발생현황"결과를 1.19일 발표하였습니다. 매년 느끼는 것이지만 이렇게 많은 사람들이 일터에서 사망한다는 것이 아직도 갈길이 멀구나 하는 생각이 듭니다. 업종별 사망자 수를 살펴보면 건설업이 341명 → 제조업 171명 → 기타 132명 순으로 발생하였는데 업종 특성상 사망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작업환경에 노출이 많이 되는 건설업에서 매년 사망자가 많이 발생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규모별 사망자 수 는 50인(억) 미만 사업장에서 60% 이상이 발생되고 있어 소규모 사업장에 대한 규제 및 감독이 많아질 것으로 생각됩니다. 올해는 소규모 사업장 지원사업도 많으니 지원사항 확인하여 적용하여 안전시설물등을 개선하는 것이 좋을 것 같습.. 2023. 1. 24. 가설전기 및 전기공사 안전점검표 2023. 1. 24. 밀폐공간 작업 안전점검표 2023. 1. 23. 이전 1 ··· 70 71 72 73 74 75 76 ··· 1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