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대부분의 안전관리자들이 화학물질관리법도 관리하고 있을것이다. 처벌수준이 산안법을 상회하기때문에 상당한 주의가 필요하다. 문제가생기면 다 안전관리자에게 불똥이 떨어지니 조심해야한다.
1. 유해화학물질의 종류 (화학물질관리법 제2조)
* 유독물질, 제한물질, 사고대비물질은 영업허가 대상임
제한물질(제4조제1항 관련).hwp
0.02MB
총칭으로 지정된 제한물질의 구체적 목록(제4조제2항 관련).hwp
0.02MB
금지물질(제5조제1항 관련).hwp
0.02MB
총칭으로 지정된 금지물질의 구체적 목록(제5조제2항 관련).hwp
0.02MB
유독물질(20.11.25).hwp
0.14MB
사고대비물질.hwp
0.03MB
2. 유해화학물질 영업허가 종류 (화학물질관리법 제27조)
3. 유해화학물질별 관리체계
4. 유해화학물질 종류확인 방법
화학물질정보시스템(http://ncis.nier.go.kr/ncis/) 검색
5. 신규허가 절차
6. 영업허가 면제대상
6. 영업허가 제출처
해당지역 관할 환경청
6. 준비서류
반응형
'환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토양오염검사 대상 및 방법/비용 (토양환경보전법 제13조) (0) | 2021.01.09 |
---|---|
유해화학물질 안전교육 이수의무 유예 (0) | 2020.12.20 |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 자체점검 (화학물질관리법 제26조) (0) | 2020.12.09 |
유해화학물질 종사자교육 대상 및 교육방법 (화학물질관리법 제33조) (0) | 2020.12.08 |
유해화학물질관리자 (화학물질관리법 제32조) (0) | 2020.07.2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