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실909 철근작업 점검표 1. 철근작업이란? 빌딩, 교량, 터널, 아파트 등 구조물을 만들기 위하여 철근을 배근하는 작업을 말하며 거푸집 동바리 시공과 병행하여 작업을 진행한다. 2. 작업절차 ① 철근반입 → ② 철근가공 → ③ 철근운반 → ④ 철근조립 3. 관련법규 제336조(조립 등 작업 시의 준수사항) 사업주는 철근조립 등의 작업을 하는 경우에는 다음 각 호의 사항을 준수하여야 한다. 양중기로 철근을 운반할 경우에는 두 군데 이상 묶어서 수평으로 운반할 것 작업위치의 높이가 2미터 이상일 경우에는 작업발판을 설치하거나 안전대를 착용하게 하는 등 위험 방지를 위하여 필요한 조치를 할 것 건설현장에서 사용하는 이형철근은 중량물이기 때문에 최근에 이슈가 많이되고있는 근골격계질환에 유의하여야 합니다. 작업을 하기위해는 어쩔 수 없.. 2021. 11. 21. 거푸집작업 점검표 1. 거푸집작업이란? 콘크리트 타설작업을 위해 구조물의 형태를 구성하는 공사를 말하며, 철근 조립후 패널등을 이용해 보, 기둥, 벽체등의 형상을 만드는일을 말한다. *거푸집 선정 시 고려사항 목재 거푸집은 흠집 및 옹이가 많거나 합판의 접착부분이 떨어져 구조적으로약한 것은 사용금지 목재 거푸집의 띠장은 부러지거나 균열이 있는 것은 사용금지 강재 거푸집은 형상이 찌그러지거나, 비틀림등 변형이 있는 것은 교정한 다음 사용 강재 거푸집 표면의 녹은 쇠솔(Wire brush) 또는 샌드페이퍼(Sandpaper) 등으로 닦아내고 박리제(Form oil)를 엷게 칠해 두어야함 2. 작업순서 1) 작업계획서 작성 ㆍ 자재반입계획 ㆍ 거푸집 종류 및 설치ㆍ해체작업 계획 ㆍ 거푸집 동바리 구조검토 및 상세조립도 작성 ㆍ.. 2021. 11. 20. 발파작업 점검표 1. 발파작업이란? 건설구조물을 구축하기위해 노천 또는 지하의 암반을 화약의 폭발력으로 파쇄하는 작업을 말하며, 파쇄를 위해 천공기로 암반을 천공하고, 폭약과 뇌관을 천공구멍에 넣고 폭파시키는 방법을 사용한다. 2. 발파작업 절차 ① 암반천공 → ② 천공구 장약 및 화약고 관리 → ③ 암반발파 → ④ 발파 파쇄석 반출 3. 관련법규 산업안전보건기준에관한규칙 제348조(발파의 작업기준) 산업안전보건기준에관한규칙 제349조(작업중지 및 피난) 4. 주요위험요인 암반천공 작업 중 천공 드릴과 천공 장비 사이에 끼임 천공장비를 암반으로 이동시키던 중 불규칙한 노면에 의해 천공장비 전도 천공구 장약 작업 중 암반의 굴착면 단부로 추락 발파작업시 방호 매트의 부실한 설치로 인해 발파시 암석 날림으로 추락 발파작업을.. 2021. 11. 19. 굴착작업 점검표 1. 굴착작업 사전조사 지반 형상․지질 및 지층의 상태 균열․함수․용수 및 동결의 유무 또는 상태 지하매설물 도면 확인 및 매설물 등의 유무 또는 상태 지반의 지하수위 상태 2. 굴착작업 안전기준 굴착면의 기울기 및 높이의 기준은 안전보건규칙 제338조(지반 등의 굴착 시 위험방지) 제1항 별표 11(굴착면의 기울기 기준)에 의한다. 사질지반은 굴착면의 기울기를 1:1.5 이상으로 완만하게 하여야 한다. 절취사면의 굴착 높이가 7m 이상인 경우에는 7m 마다 소단을 설치하여야 한다. * 굴착면의 기울기 기준 구 분 지반의 종류 기울기 보통흙 습지 1:1 ~ 1.5 건지 1:0.5 ~ 1:1 암 반 풍화암 1:0.8 연암 1:0.5 경암 1:0.3 3. 굴착작업 안전 굴착은 계획된 순서에 의해 작업을 실시.. 2021. 11. 18. 기초파일작업 점검표 1. 기초파일작업이란? 연약지반에 건축물을 축조할 때 기초의 지내력을 증대시키기 위해 땅속에 파일을 박는 공사를 말함 2. 기초파일작업 절차 ① 항타기 조립 → ② 파일운반 → ③ 천공 → ④ 파일인양 및 근입 → ⑤ 파일항타 → ⑥ 두부정리 → ⑦ 항타기 해체 ① 항타기 조립 조립 작업 전 사전에 충분한 공간을 확보 리더(Leader)를 세우기 전 안전대 부착설비를 사전 설치하여 추후 리더 상·하부 이동 시 추락방지 안전대를 착용 작업 전 와이어로프에 대하여 점검을 실시 ② 파일 운반작업 지게차 등 장비를 이용한 운반 시에는 급제동 및 급전환을 금지하고, 주변 장애물과 충돌 등을 예방 파일 하차 및 운반 작업 시에는 파일이 구르거나 떨어지지 않도록 구름방지 기구 등 안전시설을 사용 파일 하차 및 운반 .. 2021. 11. 17. 1회용품 사용규제 제외대상에서 식품접객업종 제외 됩니다.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에 따라 감염병 재난에 대해 ‘경계’ 수준 이상의 경보가 발령되고, 특별자치시장, 특별자치도지사, 시장·군수·구청장(자치구의 구청장을 말한다)이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경우 한시적으로 식품접객업종을 1회 용품 사용규제 대상에서 제외하였으나, 코로나19 이후 1회용품 사용이 급증하여 폐기물 발생이 증가함에 따라 무분별한 1회용품 사용을 줄이기 위해 1회용품 사용규제 제외대상에서 식품접객업종을 제외 * 개정안에 대한 의견을 2021년 12월 2일까지 수렴 1. 개정내용 1회 용품 사용규제 제외대상에서 식품접객업종을 삭제 1) 1회용품 사용규제(무상제공 금지) 대상에서 제외되는 도ㆍ소매업종 한국표준산업 분류코드 (세세분류) 업 종 한국표준산업 분류코드 (세세분류) 업 종 50110 자동.. 2021. 11. 16. 2021년 11월 19일 부터 임신중인 근로자도 육아휴직 사용가능 합니다. 우리나라 출산율이 매년 감소하고 있다고 뉴스에서 한 번쯤 들어보셨을 겁니다. 저 또한 들어보았고 그리 심각하게 생각하지 않았지만 통계자료를 보니 심각한 수준인 것 같습니다. 지금 현재 기성세대를 부양할 수 있는 아이들이 없다는 것은 나라 전체의 경쟁력이 떨어지는 것과 같기에 정부에서도 출산율 높이기 위해 각종 법규를 개정하고 있습니다. 임신 중인 근로자도 육아휴직 사용하능하게끔 개정하는 데에도 출산율을 높이기 위한 하나의 방법이라고 생각하지만 큰 성과를 거두기에는 부족할 것 같다는 생각입니다. 물론 임신 중인 근로자분들은 정말 단비와 같은 소식일 수도 있습니다. [국가별 출생율 비교표] 이유야 어찌됐든 알아야 이용할 수 있기에 육아휴직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계약직도 육아휴직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 2021. 11. 15. 근로자에게 임금명세서 교부 (2021년 11월 19일 시행) 근로기준법 개정에 따라 2021년 11월 19일 부터 사용자는 근로자에게 임금을 지급할 때 임금명세서를 교부하여야 합니다. 1. 근거법령 근로기준법 48조 제48조(임금대장 및 임금명세서) ① 사용자는 각 사업장별로 임금대장을 작성하고 임금과 가족수당 계산의 기초가 되는 사항, 임금액, 그 밖에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사항을 임금을 지급할 때마다 적어야 한다. ② 사용자는 임금을 지급하는 때에는 근로자에게 임금의 구성항목ㆍ계산방법, 제43조제1항 단서에 따라 임금의 일부를 공제한 경우의 내역 등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사항을 적은 임금명세서를 서면(「전자문서 및 전자거래 기본법」 제2조제1호에 따른 전자문서를 포함한다)으로 교부하여야 한다. 2. 시행일 2021년 11월 19일 부터 3. 임금명세서 기재사항 성.. 2021. 11. 14. 농지연금이란 무엇이며 어떻게 진행되는지 알아보자 1. 농지연금이란? 5년이상의 영농경력을 가지고있는 65세 이상 농업인이 소유한 농지를 담보로 매월 연금으로 지급받는 제도 2. 농지연금의 목적 고령농업인이 소유한 농지를 담보로 노후생활안정자금을 매월 연금방식으로 지급하여 고령농업인의 노후생활안정 지원 농지자산을 유동화하여 노후생활자금이 부족한 고령농업인의 노후생활안정 지원으로 농촌사회의 사회안전망 확충 및 기능 유지 3. 근거법령 「한국농어촌공사 및 농지관리기금법」제10조(사업) 및 제24조의5(농지를 담보로 한 농업인의 노후생활안정 지원사업 등) *제10조(사업) 5항 영농규모의 적정화, 농지의 효율적 이용, 농업구조개선 및 농지시장과 농업인의 소득 안정 등을 위한 다음 각 목의 사업 가. 농지의 매매ㆍ임대차ㆍ교환ㆍ분리ㆍ합병에 관한 사업 나. 농지의.. 2021. 11. 11. 농지법에 의한 농업인의 범위 및 농지자격취득증명 발급방법 은퇴할 날은 많이 남았다고 생각하지만 언제 어떻게 될지 모르기 때문에 항상 준비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요즘에는 경매에도 조금 관심이 생겨서 토지를 낙찰받아볼까 생각하고 있다. 운이 좋게 돈이 된다면 좋겠지만 그것보다도 언제가 될지 모르겠지만 나중에 정말로 시골에서 소작농으로 살아보고 싶은 생각도 있기 때문에 지금부터 준비를 해두려고 한다. 물론 준비만하다 끝날수도 있겠지만 도전하지 않는 사람에게는 결과물도 없기에 도전해 보려고 한다. [ 농업인이란? ] 농업에 종사하는 개인으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자 * 농업인의 범위 1천제곱미터 이상의 농지에서 농작물 또는 다년생식물을 경작 또는 재배하거나 1년 중 90일 이상 농업에 종사하는 자 농지에 330제곱미터 이상의 고정식온실ㆍ버섯재배사ㆍ비닐하우스, 그 밖의.. 2021. 11. 7. 이전 1 ··· 83 84 85 86 87 88 89 ··· 9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