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136 보안경 의 종류 및 선정 및 사용방법 1. 보호구의 분류 일반용 용해 금속용 액체용 먼지용 가스 및 증기용 2. 보호구의 형태 안경(눈 보호대 포함) 고글 머리에 쓰는 안면보호구 손잡이가 있는 안면 보호구 다른 보호장비와 결합된 눈 보호구 3. 눈 상해의 위험요소 구 분 위험요소 기계적 위험요소 - 물리적 접촉(날으는 물체나 고정된 물체와의 접촉) - 먼지 혹은 분말 화학적 위험요소 - 먼지 및 분말 - 액체 - 증기, 가스, 연기 열이나 유해광선 - 가시광선 - 자외선(UV) - 적외선(IR) - 레이저 빛 4. 눈 보호구의 선정 1) 일반사항 (위험요소, 사람, 환경) 2) 위험요소를 반영한 선정 3) 개인보호구와 겸용이 가능하게 선정 4) 쾌적함과 적합함을 고려한 선정 5) KCs 인증마크 제품 사용 산업현장에서 사용하는 보안경은 용도.. 2022. 4. 4. 중대재해처벌법 관련양식 고용노동부에서 중대재해처벌법 따라하기를 배포하면서 관련양식을 배포하였습니다. 기존에 일반적으로 사용하던 양식과 크게 차이는 없으며, 사업장별로 고도화 시켜서 사용하시면 좋을것 같습니다. 배포한 양식이 워드라 사용하기 불편할것같아 엑셀로 변환하여 작성하였으니 혹시라도 필요하시면 사용하시면 될것같습니다. 1. 안전보건경영방침 고용노동부 예시에는 워드로 되어있어 PPT로 변환하여 작성해 보았습니다. 2. 안전보건목표 및 추진계획 방침에 이어서 정량적인 지표인 안전보건목표 및 추진계획을 수립하여야 합니다. 방침에 정량적인 목표를 수립하는 사업장도 있겠지만 대부분 방침 외 별도로 지정하는 경우가 많은것 같습니다. 3. 위험기계ㆍ기구ㆍ설비 목록 사업장에서 사용하는 위험기계ㆍ기구ㆍ설비 목록을 작성하여 관리가 필요합니.. 2022. 3. 28. 세척제 취급공정 급성중독 발생 경보 발령(안전보건공단) 세척제 취급공정 급성중독 발생 경보가 발령되었습니다. 이러한 사고는 발생되면 안되지만 발생한 근본적인 원인을 찾아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21.12월 창원 소재 전자제품용 동부품 생산 사업장 소속 근로자 16명이 클로로포름(트리클로로메탄)이 함유된 세척제를 사용하여 세척작업 중 발생한 증기에 노출되어 독성간염이 발생하였습니다. ※ 안전보건공단 화학물질종보 검색 (클로로포름(Chloroform), CAS No. 67-66-3) 규제법규 내 용 산업안전보건법에 의한 규제 ㆍ작업환경측정대상물질 (측정주기 : 작업환경측정대상물질 6개월) ㆍ관리대상유해물질 ㆍ특수건강진단대상물질 (진단주기 : 특수건강진단대상물질 12개월)노출기준설정물질 ㆍ허용기준설정물질 화학물질관리법에 의한 규제 유독물질 위험물안전관리.. 2022. 2. 24. 근로감독관 집무규정(산업안전보건)개정 근로감독관 집무규정이 개정되었습니다. 한번쯤 읽어보는것도 업무에 도움이 되니 시간될때 보시면 될것같습니다. 중대재해처벌법으로 인해 점점 챙겨야할 영역도 많아지고 감독관님들도 수시로 현장점검을 진행하니 항상 긴장하고 근무해야 하는데 스트레스가 이만저만이 아니네요 다들 어려운 시기에 힘내시기 바랍니다. 개정내용 (훈령 제398호) 감독 종류를 정기ㆍ수시ㆍ특별감독으로 개편하여 감독 종류 직관화ㆍ명확화(제9조제1항) 특별감독 실시 주체에 광역중대재해관리과가 설치된 경기지청장 추가 및 특별감독 대상 명확화(제9조제2항제3호) 제9조(사업장 감독의 정의 및 대상) ① 이 훈령에서 사업장 감독(이하 “감독”이라 한다)이란 감독관이 산안법 제155조에 따라 감독대상 사업장의 산안법 위반 여부를 조사하는 활동을 말한다... 2022. 2. 15. 벨트슬링에 대해 알아보자 벨트슬링이란? 각종 줄걸이 작업, 짐걸이 작업에 사용하는 섬유제 벨트 슬링을 말한다. 1. 벨트슬링의 종류 양 끝 고리형 (Both ends eye type) 엔드리스형 (Endless type) 쇠걸이붙이형 (Fitting attached type) 2. 벨트 슬링의 너비와 인장강도 및 색상 3. 벨트슬링 사용기준 벨트 슬링은 사용 상태에 맞는 적절한 것을 선정하여 사용하여야 한다. 폴리프로필렌계로 된 것은 자외선에 비교적 약하므로 옥외에서의 사용을 피하 여야 한다. 화학약품에는 해당 화학약품에 적합한 것을 사용하여야 한다. 벨트 슬링의 파단하중을 사용하중으로 나눈 안전계수는 6.0 이상이어야 한다. 다만 쇠걸이의 파단하중은 규정한 사용하중의 4배 이상이어야 한다. 모서리에 거스러미(Burr, 쇠가시).. 2022. 1. 29. 중대재해처벌법 대응을 위한 첫번째 방법 ① 중대재해처벌법이라고 뒤늦게 알고 대응하려는 사업장도 심심치 않게 볼 수 있고 급하다 보니 무턱대고 뭘 해야 되는지 자료 달라고 하는 사업장이 있다. 참으로 생각도 없고 예의도 없다고 생각한다. 최소한 질문을 하기 전 고용노동부 홈페이지나 안전보건공단 홈페이지에 게시된 자료라도 한 번 보고 질문을 해야 답변을 해줘도 아~ 그렇구나 하는데 이건 무조건 결론만 말해달라고 하니 도둑놈 심보가 따로 없다. 컨설팅받기도 싫다. 공부하기도 싫다 하니 그냥 남의 자료 가져다가 적용해봐야 의미가 없다. 아무리 좋은 시스템을 가져간다 한들 유지될 리도 없고 할 수도 없다. 안전보건관리체계는 기본적으로 ISO45001이나 KOSHA-MS 인증을 받은 사업장이라면 어느 정도 틀은 잡혀있을 것이다. 다만, 제대로 운영하고 있는.. 2022. 1. 25. 중대재해처벌법을 대처하기 위해 문제점을 알아야 한다. 중대재해처벌법 시행이 이제 코앞으로 다가왔다. 이와 관련하여 다수의 사고가 발생되는 사업장에서는 촉각을 곤두세우고 안전관리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을 것이라고 생각된다. 2022년 건설인 신년인사회의 참석한 김부겸 국무총리는 중대재해처벌법은 감옥 보는 법이 아니라 우리나라도 이제는 10위권의 경제대국으로서 안전과 사람, 생명에 대한 생각을 바뀔 때가 되었고 이제는 안전도 선진국 대열에 들어서야 된다는 취지로 말씀하셨다. 모두가 맞는말이기는 하지만 실무자 입장에서는 걱정이 앞서는 것은 어쩔 수 없는 일이다. 모두가 안전관리자의 마음과 같다면 좋겠지만 아직까지도 그렇게 생각하지 않는 사람이 더 많기 때문이다. 개인적으로 사고가 끊임없이 발생되는 것인가를 생각해 보면 다음과 같다고 생각하는데 개인적인 .. 2022. 1. 24. 도장작업 점검표 1. 도장작업이란? 재료의 표면에 방부ㆍ방청ㆍ방화나 장식을 목적으로 도막을 형성시켜 내습성, 내후성, 내약품성을 가지게 하는 작업을 말한다. 2. 작업절차 도장자재반입 ▶ 도장면처리 ▶ 도장 3. 주요위험요인 달비계 사용시 작업용 로프 체결 불량 또는 구명줄 미설치, 안전대 미착용으로 인한 추락 비계의 작업발판 미설치 또는 미고정 상태로 도장작업 중 작업발판이 탈락하면서 추락 외벽에 달비계를 설치하고 도장작업 중 달비계 작업용 로프가 풀리면서 추락 외벽 도장작업 중 달비계 로프를 묶은 옥상 난간 기둥의 파손 또는 탈락에 의한 추락 사다리를 사용하여 벽체 도장작업 중 사다리가 흔들리면서 추락 용접작업장소에서 공동으로 도장작업을 진행 중 신너에 용접 불티가 튀면서 화재 발생 고소 작업대 탑승설비의 안전난간을.. 2021. 12. 14. 임신 중인 여성 및 18세 미만 사용금지 직종 근로기준법 시행규칙이 일부 개정되어 임신 중인 여성 및 18세 미만 사용금지 직종을 지정하였습니다. 이에따라서 2021년 11월19일 부터는 해당 인원에 대해서는 취업이 불가하므로 채용 시 확인이 필요합니다. 1. 신설조항 근로기준법 제11조의2(임신중인 여성 등의 사용금지 직종) 2. 임신 중인 여성의 사용 금지 직종 건물해체작업 및 통나무 비계의 설치 또는 해체업무 (산업안전보건기준에관한규칙 제71조) 추락위험이 있는 장소에서의 작업 및 붕괴 또는 낙하위험이 있는 장소에서의 작업 (산업안전보건기준에관한규칙 제42조) 둥근톱기계로서 지름이 25cm 이상인 기계를 사용하여 목재를 가공하는 업무 또는 띠톱기계로서 풀리의 지름이 75cm 이상인 기계를 사용하여 목재를 가공하는 업무 (산업안전보건기준에관한규칙.. 2021. 12. 7. 목재 작업발판 구조 및 설치기준 1. 작업발판이란? 작업자가 높은 작업장소 및 추락이나 발이 빠질 위험이 있는 장소에서 안전하게 작업 또는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설치하는 발판을 말한다. 2. 목재 작업발판 설치기준 목재 작업발판의 경우 부득이한 상황에서만 사용하여야 하며 목재작업발판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다음의 규정에 적합하여야 한다. 작업발판으로 사용할 판재의 치수는 폭이 뚜께의 5~6배 이상 되어야 하고 작업발판의 폭은 40cm이상, 두께는 3.5cm이상 길이는 3.6m 이내 이여야 한다. 2개의 바닥재를 평행으로 사용할 경우 바닥재 사이의 틈은 3cm 이하 이어야 한다. 작업업발판의 장방향 이음은 맞댄이음으로 해야 한다. 건물벽체와 작업발판과의 간격은 30cm 이내로 한다. 작업발판에 설치하는 발끝막이판은 높이 10.. 2021. 12. 5. 이전 1 2 3 4 5 6 ··· 1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