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안전138

직무스트레스 관리 업무에 대해 알아보자!! 1. 직무스트레스란? 업무로 인해 심한 압박감을 받을 때 나타나는 신체적ㆍ심리적 반응을 말한다. 2. 직무스트레스 평가 근거 산업안전보건법 제5조 (사업주 등의 의무) 산업안전보건 기준에 관한 규칙 제669조(직무스트레스에 의한 건강장해 예방조치) 3. 직무스트레스 영향 건강상의 문제 발생 요인 극심한 스트레스 상황에 노출되어 심혈관계, 위장관계, 호흡기계, 생식기계, 내분비계, 신경계, 근육계, 피부계 손상 발생 흡연, 알코올 및 카페인 음용의 증가, 신경안정제, 수면제 등 약물 남용, 대인관계 기피, 자기 학대 및 비하, 수면 장애 등의 행동의 변화가 발생 업무 수행능력 저하로 인해 생산성이 떨어지고 일에 대한 책임감을 상실하고 결근하거나 퇴직, 사고를 일으킬 위험이 높아짐 심할 경우 자살과 같은 극.. 2021. 7. 9.
건설업 산업재해 현황 분석 (타 업종대비 높은 재해율) 최근 건설업 분야 산업재해는 타업종 대비 산업재해 발생률이 점차적으로 증가하고 있고 2016년부터는 제조업을 넘어서 산업재해가 가장 많이 발생하는 업종으로 분류되고 있다. 2008년 33.9% 에서 2020년 42.6%로 타업종대비 매년 꾸준히 증가하고 있고 물류산업 또한 급속도로 성장하면서 운수창고 통신업에서의 사고도 증가하고 있어 집중관리가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건설업 사망원인을 분석해보면 대부분 재래형사고가 대부분이다. 그중에서도 떨어짐(추락) 사고가 가장 많이 발생되고 있다. 10년 전이나 기술이 발전된 지금이나 별반 차이가 없다는 것이 안타깝다. 통계자료를 보면서 한가지 흥미로운 점을 발견했는데 건설업 근로자는 점차적으로 줄어드는 반면 사고는 늘어나고 있다는 것이다. 정확한 이유는 나와있지는 .. 2021. 7. 1.
산업안전보건법 관리감독자의 역할에 대한 생각 사업장의 생산과 관련되는 업무와 그 소속 직원을 직접 지휘ㆍ감독하는 직위에 있는 사람을 관리감독자라 하고 법적으로 선임하게 되어있다. 법적 규제도 많아지고 안전관리자가 챙겨야 할 범위가 점점 커져가고만 있는 시점에서 관리감독자의 역할이 중요해지고 있는 실정이지만 실제로 관리감독자 역할을 제대로 하는 회사는 거의 없을 것이다. 그럼 왜 관리감독자의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할까? 관리감독자의 개인 자질의 문제라고 치부할 수도 있지만 내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시간'이 부족하다는 것이다. 회사에서는 생산을 중점적으로 업무스케쥴을 짜고 관리를 하고 있어 안전관리 업무가 비집고 들어갈 틈이 별로 없다. 처음부터 작업절차에 안전관리를 포함하여 업무범위를 정하고 움직이는 것이 아니라 남는 시간에 안전관리를 하게 되어.. 2021. 6. 28.
산업재해 발생 시 산업재해조사표 작성 및 제출(산업안전보건시행규칙 제73조) 사업주들은 산업재해로 사망자가 발생하거나 3일 이상의 휴업이 필요한 부상을 입거나 질병에 걸린 사람이 발생한 경우에는 산업재해가 발생한 날부터 1개월 이내에 산업재해조사표를 작성하여 관할 지방고용노동관서의 장에게 제출해야 한다. 1. 관련 근거 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 제73조(산업재해발생 보고 등) ① 사업주는 산업재해로 사망자가 발생하거나 3일 이상의 휴업이 필요한 부상을 입거나 질병에 걸린 사람이 발생한 경우에는 법 제57조제3항에 따라 해당 산업재해가 발생한 날부터 1개월 이내에 별지 제30호서식의 산업재해조사표를 작성하여 관할 지방고용노동관서의 장에게 제출(전자문서로 제출하는 것을 포함한다)해야 한다. ② 제1항에도 불구하고 다음 각 호의 모두에 해당하지 않는 사업주가 법률 제11882호 산업안전.. 2021. 6. 27.
코로나19 관련 안전보건교육 유예 종료 코로나19로 인해 안 그래도 교육하기 힘든 상황에서 더욱 힘든 상황으로 발전하게 되었다. 집체교육도 하기 힘들고 소규모 하라고 하는데 솔직히 말이 쉽지 힘든 경우가 상당히 많다. 하지만 6.10일자로 안전보건교육지침이 개정됨에 따라 안전보건교육을 좀 더 수월하게 진행할 수 있게 되었다. 구 분 현 행 개 정 비 고 직무교육 [이수기간유예] 직무교육 대상자가 교육 수강을 원치 않을 경우 * 감염병 재난 상황 해체날부터 6개월 이내에 직무 교육을 이수 [이수기간 유예 종료] 직무교육 이수기간 유예는 종료하고 방역지침을 준수하여 교육 실시 *2단계 까지 100미만, 2.5단계 이상 50인 미만 안전보건사고 발생위험 상승우려 근로자 정기교육 [소규모 교육] - 정기교육 시 전직원 집체교육 보다는 가급적 소규모단.. 2021. 6. 26.
보호구의 종류 및 구매/관리방법 항상 보호구 착용을 말하지만 아직도 불편하고 귀찮은 대상으로 인식하는 사람들이 존재한다. 예전에는 보호구 착용하라고 지적하면 성질내면서 일 못하겠다고 집에 가거나 꼬장을 부리는 사람들이 정말 많았다. 지금은 많이 좋아졌다지만 아직도 필수적 요소가 아닌 선택적 요소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존재하기에 어렵기만 하다. 보호구 착용에 대한 근로자의 책임을 묻지 않고 안전관리자에게만 책임을 묻고 있는 것도 한몫했다고 생각한다. 아무리 좋은 보호구나 안전장치가 있으면 뭐하나.. 사용하는 것은 사람인데.. 이제는 좀 바뀌길 오늘도 기도해본다. 1. 보호구란? 근로자의 신체 일부 또는 전체에 착용해 외부의 유해 위험요인을 차단하고 피해의 정도를 줄여주는 기구를 말한다. 2. 보호구의 종류 3. 작업별 개인보호구의 선정 .. 2021. 6. 24.
산업안전보건관리비 계상 및 사용방법 (산업안전보건법 제72조) 안전관리자들의 고민거리는 돈이다. 건설업은 안전관리비가 책정되어있어 투자를 할 수 있지만(대기업군 외는 회사마다 다를 수 있음) 있지만 제조업의 경우에는 안전관리비라는 게 없다. 기본적인 보호구 외에는 투자하는 것을 꺼려한다. 그러면서 돈 안 들이고 효과를 극대화하기를 원한다. 그러니 안전관리자들의 머리가 아파오고 이직이 많다. 회사가 중소기업에서 중견기업으로 중견기업에서 대기업으로 발전은 이루어가면서 늘 위기란 이름을 앞세워 안전에는 투자를 소홀히 한다. 이제는 인식이 좀 바뀔 때도 되지 않았나 싶지만 아직 갈길이 멀기만 하다. 건설업을 타인에게 도급하는 자와 이를 자체사업으로 하는 자는 도급계약을 체결하거나 자체 사업계획을 시행하는 경우 산업재해 예방을 위한 산업안전보건관리비를 도급금액 또는 사업비에.. 2021. 6. 15.
고소작업대(차량탑재형) 점검 및 안전작업 방법 건설현장이나 제조업 현장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것 중 하나가 고소작업대이다. 그만큼 사고 위험성도 높기 때문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지만 작업성을 위해 안전장치를 해제하고 사용하는 등의 안전수칙을 위반하여 발생되는 사고가 끊임없이 발생되고 있다. 누구의 잘못을 따지기 전에 우리나라의 안전의식 수준이 향상되지 않으면 아무리 강력한 법으로 제제를 한다한들 개선되지 않을 것들 중 하나이다. 1. 고소작업대(차량탑재형)이란? 작업대, 연장구조물(지브), 차대로 구성되며 사람을 작업 위치로 이동시켜주는 설비를 말한다. 2. 고소작업대의 종류 1) 차량탑재형 고소작업대 차량탑재형은 화물자동차에 지브로 작업대를 연결한 형태로서 주행 제어장치가 차량(본체)이 운전석 안에 있는 것을 말한다. 2) 시저형 고소작업대 작업.. 2021. 6. 13.
산업재해보상보험(산재보험) 신청절차 및 방법 1. 산업재해보상보험이란? 근로의 업무상 재해를 신속하고 공정하게 보상하며, 재해근로자의 재활 및 사회 복귀를 촉진하기 위하여 이에 필요한 보험시설을 설치ㆍ운영하고, 재해 예방과 그 밖에 근로자의 복지 증진을 위한 사업 2. 산재 보험급여의 종류 구 분 내 용 요양급여 ㆍ진료비: 치료에 소요된 병원비용 ㆍ간병료: 간병에 따른 비용 ㆍ이송료: 통원 치료 등에 따른 이송비용 ㆍ기타: 보조기, 본인이 직접 낸 치료비용 휴업급여 ㆍ요양기간 중 일하지 못한 기간 동안 하루 평균 임금의 70%에 해당하는 휴업급여 지급 상병보상연금 ㆍ요양기간이 2년을 경과하고 중증요양상태등급(1급~3급)에 해당하는 경우 휴업급여 대신 상병보상연금 지급 장해급여 ㆍ치휴 후 신체 등에 장해가 남은 경우 1급~14급에 해당하는 장해급여 .. 2021. 6. 3.
안전보건의무사항 (사업주도 알아야 산다) 중대재해 처벌법이 제정되면서 이런저런 이슈사항들이 지속적으로 발생되고 있습니다. 내년부터 안전관리자들이 걱정이 많아질 것 같고 고위험 사업장에 대한 기피현상이 심해질 것 같네요... 만약 사업주가 구속이라도 된다면 안전관리자들은 무사할까요? 참 어려운 문제입니다. 어찌 됐든 사고가 일어나지 않으면 다행인데 이게 맘대로 되는 문제도 아니고 쉽지도 않습니다. 하지만 할 수 있는 방법은 모두 동원해서 적극적인 안전활동만이 사고를 막을 수 있다고 생각됩니다. 물론 그러기위해서는 사업주들에게는 지속적으로 경고를 해줘야되고 협조를 얻어야 순조롭게 진행되겠죠.. 공단이나 노동부에서는 지속적으로 준비해야되는 사항들을 홍보하고 있고 준비하라고 하고 있습니다. 힘들지만 관심을 가지고 검토해야될 시기인것같습니다. 안전보건관.. 2021. 6. 3.